
[프로젝트 소개]
매일매일 반복되는 메일업무! 이젠 Busy하지말고 BusyBee 하세요
[역할]
팀장, 백엔드 담당, 아키텍처 설계, IoT데이터 실시간 모니터링, LLM프롬프트 개선, 채팅앱, 영상포트폴리오
- 팀장(PM): 팀장으로 프로젝트 전반을 이끌고, 백엔드 개발을 책임지며 기술적 성장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문제 해결 능력과 실무 감각을 키울 수 있었던 뜻깊은 경험이었습니다. 팀원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과 협업에 집중했습니다.
- 아키텍처 설계: EDA(Event driven architecture)를 full serverless로 설계하며 각 Lambda간 연결을 Lambda트리거 대신 SQS와 SNS를 활용하여 서비스의 변경과 확장에 유리하도록 설계
- EDA는 모듈이나 서비스 간에 강한 결합을 느슨하게 해주는 좋은 아키텍처라고 생각 했습니다.
- 백엔드 API개발: LLM과 고객의 채팅을 API Gateway, WebSocket 기반의 실시간 챗봇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UX를 개선
- 프롬프트: 유저가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안내 받을 수 있도록 챗봇 프롬프트를 고도화
- IoT 데이터 실시간 모니터링: 물류 컨테이너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 데이터의 실시간성을 위해 MQTT프로토콜과 websocket을 활용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
[레슨 런 및 구현내용]
- 아키텍처 설계: 연계기업의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서버리스와 CDN 채택. 필요한 시점에만 자원을 사용하는 최적화된 구조를 설계하여 운영 비용 절감과 시스템 효율성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했으며, 이러한 경험은 효율적인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주었습니다.